콜백함수는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어렴풋이 알고 사용하고 있어서 알아보았다. 콜백(Callback)함수란?다른 함수에게 넘겨주는 함수이다."얌~ 이 함수 나중에 필요할 때 알아서 실행해줘~"라고 하면서 함수를 다른 함수에게 넘겨주는 것이다. 콜백 함수를 파라미터로 전달하고, 그 함수를 내부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예시 - 이벤트 리스너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버튼 클릭");}); 대표적으로 이벤트 리스너가 있다.'이거 클릭하면 실행해줘~!' 하고 addEventListener에게 함수를 넘기는 것이다. (클릭이 되면, 브라우저가 알아서 실행을 해준다) 위 코드에서 () => {...} 가 콜백함수이다. 예시 ..
JavaScript
Array.prototype.every() 함수의 이름 every()를 보면 추측을 할 수 있다.배열의 모~든 요소가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모~두 만족하면 true 반환-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false 반환 만족하지 않는 요소를 찾으면 바로 멈춘다 (뒤에 있는 요소들을 더 이상 검사하지 않는다.) const arr = [true, true, false, true]; const result = arr.every(value => { // 여기부터 콜백 함수 console.log(value); return value; }); // 여기까지 콜백 함수// true // true // false console.log(result); // false 4번째의 true를 ..
let data = [];let a = [1, 2, 3];let b = [4, 5, 6]; a랑 b를 배열 data에 합치는 방법 concat()과 스프레드 연산자를 가장 많이 쓴다. 1. concat()let data = []; let a = [1, 2, 3]; let b = [4, 5, 6]; data = a.concat(b); console.log(data); // [1, 2, 3, 4, 5, 6] concat()은 원본 배열을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반환한다. 2. 스프레드 연산자 (...)let data = []; let a = [1, 2, 3]; let b = [4, 5, 6]; data = [...a, ...b]; console.log(data); // [1, 2, 3, 4, 5,..
JavaScript에서 문자열 처리 작업을 하다 보면, 특정 패턴을 추출해야 할 때가 있다.그중에서도 문자열에서 숫자만 추출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한다.이때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원하는 숫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정규표현식을 이용해 숫자를 추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려고 한다. 1. 숫자 추출을 위한 기본 정규표현식숫자를 추출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정규표현식 패턴은 \\d이다.\\d: 숫자를 의미하며, 0부터 9까지의 숫자 하나를 매칭한다.+: 직전 패턴이 한 번 이상 반복되는 것을 매칭한다. 즉, 연속된 숫자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이 패턴을 JavaScript에서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let varStr = "..

String 변수인 keyword와 label1 ~ label5가 비어있지 않다면 num++을 해주는 로직을 짰다. label1 ~ label5는 배열로 만들면 안 됐던 상황이었다. let num = 0; // keyword, label1 ~ label5 는 다른 곳에서 받아오는 값 if(keyword !== "" && keyword !== null){ num++; } if((label1 !== "" && label1 !== null)){ num++; } if((label2 !== "" && label2 !== null)){ num++; } if((label3 !== "" && label3 !== null)){ num++; } if((label4 !== "" && label4 !== null)){ num..

📽️ 프로젝트 소개 저번 미니 프로젝트를 할 때에는 mvc를 이용해서 백에서만 구현되게 만들었었다. 그때는 배운 게 한정적이라 주제를 정하는 것도 범위가 좁아서 생각보다 쉽게 골라서 할 수 있었다. (지난 미니 프로젝트는 3일 정도였고, 커피 구매하기 프로젝트를 만들었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에서도 보여지고 백에 대해서도 더 배웠기 때문에 주제 범위가 넓어져서 정하는 데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회의 끝에 여러 후보들이 나왔다. - 항공사 - 병원 정보 오픈 api - 사내 메신저 - 데이트 매칭 시스템 - 술 맛집 정보 사이트 - 온라인 약국 - 영화 후기 공공 데이터를 다루는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었다. 팀원들 모두 영화에 관심이 있고 api를 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