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

남궁성 저자의 강의를 보고 ch7을 정리해보았다! https://youtu.be/Qm08p4Vk2sw?si=Rz3KdfmQ1wLPFjaq      private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default)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protected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접근 제한이 전혀 없다.        MyParent 클래스를 default를 만들었고, MyParent와 다른 패키지에서 MyChildMyParent가 접근제어자가 (default)이기 때문에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을 하려고 하면 에러가 난다.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public class MyParent {} 라고 써줘야 한다.        여기서 에..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애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파일인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하지만 개발 환경이나 운영 환경에 따라 다르게 동작해야 하는 설정들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파일 저장 경로 같은 경우에는 운영체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코드베이스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설정을 분리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기본 설정 정의spring.datasource.url=jdbc:postgresql://localhost:5432/mydbspring.datasource.username=myuserspring.datasource.pas..
남궁성 저자의 강의를 보고 ch7을 정리해보았다! https://youtu.be/Hmu7YH8AXmI?si=VRLy4Mey08Duvvog 제어자(modifier)-클래스와 클래스의 멤버(멤버 변수, 메서드)에 부가적인 의미 부여(=형용사) 접근 제어자 :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그 외 : static, final, abstract, native, transient, synchronized, volatile, strictfp -하나의 대상에 여러 제어자를 같이 사용가능(접근 제어자는 하나만) static - 클래스의, 공통적인final - 마지막의, 변경될 수 없는변경될 수 없는 클리스, 확장될 수 없는 클래스가 된다 → 조상이 될 수 없다 약간 fianl은 상..
남궁성 저자의 강의를 보고 ch7을 정리해보았다! https://youtu.be/BS1Pxm5XVNM?si=enkbJnGLUupJNYjE import문-클래스를 사용할 때 패키지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컴파일러에게 클래스가 속한 패키지를 알려준다-java.lang패키지의 클래스는 import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String, Object, System, Thread … ) import문의 선언import 패키지명.클래스명; import 패키지명.*; -import문은 package문과 class 선언 사이에 선언한다-import문은 컴파일 시에 처리되므로 프로그램의 성능에 영향없음 -다음의 두 코드는 서로 의미가 다르다 -이름이 같은 클래스가 속한 두 패키지를 import할 때는 클래스 앞..
남궁성 저자의 강의를 보고 ch7을 정리해보았다! https://youtu.be/hcHJgmX8VlA?si=4JQIEFB8cU51DtPY    -패키지 : 여러 클래스를 묶어서 관리하는 단위.→ JAVA8부터는 클래스가 4000개이기 때문에 패키지로 구분해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클래스의 실제 이름(full name)은 패키지를 포함(예 : java.lang.String) rt.jar: 클래스를 압축한 파일(JDK설치경로 \jre\lib에 위치)(rt : runtime을 뜻한다) Java 9부터는 모듈 개념이 들어와서 rt.jar대신 module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더 이상 rt.jar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jar 파일 : JAVA에서 클래스 파일들을 압축한 형식이며, 확장자는. jar이다.jar..
남궁성 저자의 강의를 보고 ch7을 정리해보았다!  https://youtu.be/XT9KmsEk9f8?si=So9wZwDi0s6VOjnk     supersuper는 this와 거의 유사하다- 객체 자신을 가리키는 참조변수. 인스턴스 메서드(생성자)내에만 존재- 조상의 멤버를 자신의 멤버와 구별할 때 사용this : lv(local variable)와 iv(instance variable) 구별에 사용 super : 조상멤버와 자신멤버 구별에 사용  빈 방이 3개이다 (super.x, this.x, method() 이렇게 3개) Parent의 x와 Child의 x는 똑같은 x라도 구별된 x이다.   이 경우는 빈 방이 2개이다. (super.x와 method())     super() - 조상의 생성자..
해버니
'오블완' 태그의 글 목록 (2 Page)